활기찬 활체험센터활기찬 활체험센터

국궁양궁소개

  1. 활문화소개
  2. 국궁양궁소개

메뉴 열기

국궁

활은 구석기 시대 이래 세계 공통의 수렵도구이자전쟁용 무기로 사용되었지만, 민족별로 그 역사와 거주 환경에 따라재료와 형태 면에서 약간씩 차이가 있다.우리민족은 2천년이상이나 각궁의 전통을 이어 받아고유의 민족궁을 쏘고 있는 유일한 민족이다.

국궁소개

국궁의 특성

우선 활은 그 크기에 따라 장궁과 단궁으로 나누어 진다.

장궁은 궁간이 길어 2m 이상에 이르며 주로 삼림지대나 해안 지대의 민족들이 사용하였다. 서양의 영국이나 아시아의 일본 및 동남 아시아 여러 섬의 원주민들이 사용한 활이다.

단궁은 반대로 궁간이 짧아 2m 이하가 보통이며, 중국, 몽고, 터어키 등 주로 초원지대의 민족이 사용하던 활이다.

쓰여진 재료에 따라 나무로 만들면 목궁, 대나무로 만들면 죽궁, 소뿔로 만들면 각궁, 놋쇠로 만들면 철궁 등으로 분류하고, 제작에 쓰이는 재료가 몇가지 종류인가에 따라 단일궁과 복합궁으로 구분한다.

단일궁은 나무나 대나무의 한가지 재료로 제작한 것이며,복합궁은 나무, 대나무, 뿔 등 여러 가지 재료를 복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복합궁은 시위를 걸었을 때나 벗겼을 때 궁체가 직선이나 반달모양으로 되지 않고 만곡됨으로 반곡궁 또는 만곡궁이라고 부른다. 만곡궁은 활중에서 가장 탄력과 복원력이 뛰어나 사정거리가 직궁이나 반달궁보다 훨씬 길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활인 각궁은 단궁이자, 복합궁이며, 만곡궁이다.

활의 길이는1m 20∼30cm 가량인 단궁으로 2m 20∼30cm 전후인 일본의 장궁보다 1m 가량 짧다. 제작 재료는 물소, 소힘줄, 대나무, 뽕나무, 화피, 민어부레풀 등 6가지 재료가 사용된다. 물소뿔을 주체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각궁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형태는 전형적인 만곡궁으로서 시위를 풀었을 때는 C자 형태를 유지하다가 시위를 얹게 되면 궁간이 뒤로 당겨지면서 궁체가 줌손을 중심으로 쌍곡선을 그린다. 복합 재료를 이용한 만곡궁이기 때문에 탄력이 좋고 사거리가 긴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가 우리나라에 요구한 공물 품목 속에 각궁이 들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각궁은 명품이었다. 현재 스포츠 용으로는 이 전래의 각궁과 아울러 양궁 소재를 이용하면서 각궁의 특징을 최대한 살린 개량궁도 사용 되고 있다.

양궁은 영국 등에서 사용되던 전통적인 서양활을 스포츠 용으로 개량한 것인데, 1960년대 초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었다. 그때부터 양궁과 구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전통궁은 국궁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양궁과 국궁의 차이는 양궁이 조준기를 사용하며, 최대 사거리를 90미터로 잡고, 화살이 과녁판에 맞는 위치에 점수가 다르게 배정되는데 반하여 국궁은 여하한 조준장치도 부착할 수 없고, 145 m 고정 사거리를 이용하며, 과녁판의 어디를 맞추어도 명중으로 간주한다는 것 등일 것이다.

양궁이 국궁보다 반 정도밖에 안되는 짧은 사거리를 이용하는 것은 경기 규칙상만의 문제가 아니고, 거의 직궁인 양궁활 자체의 복원력이 만곡궁인 국궁보다 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각궁의 역사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각궁은 삼국시대 고구려 에서 부터 발명된 활이다.목궁을 사용하던 당시 만곡궁인 각궁의 발명은 획기적인 것이며 실로위대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역사서적에는 고구려의 각궁을 맥궁이라고 했고 한나라와 오나라 황제 등에게 고구려가 각궁인 맥궁을 선물로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우리 인류는 원시 수렵시대에서 부터 수만 수천 년동안 목궁을 사용해 왔는데 고구려가 각궁이 라는 복합소재의 활을 만들어 낸 것이다.

작고 가벼우면서도 저항력이 강한 고구려의 각궁은 자연속에서 구할 수 있는 소재로 만든 최상, 최고의 활이다.

고구려 고분벽화 수렵도에 나오는 각궁은 오늘 우리가 쏘는 각궁의 소재와 형태가 별로 틀리지 않는다. 수렵도의 각궁은 지금의 각궁 보다 장이 약간 짧은 후궁과 비슷하다. 이래서 우리민족은 2천년이상이나 각궁의 전통을 이어 받아 고유의 민족궁을 쏘고 있는 유일한 민족이다.

활은 전쟁무기인 까닭에 역대왕조는 호국강병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에서 활쏘기를 권장해 왔다. 하지만 활쏘기는 군사적 목적과는 달리 역대 왕과 문무백관 그리고 지도층 계급인 선비들이 심신단련과 인격도야의 방편으로도 애용되었다.

이미 공자, 맹자 시대에 인자여사하는 말이 나왔듯이 활쏘기는 선비들의 필수과목으로 정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즘 우리 사회의 있는 자들이 골프를 즐기듯이 옛 선비들은 활쏘기를 즐겼던 것이다. 이래서 활쏘기는 삼국시대 이후 군사목적 이외에도 심신단련과 인격도야를 위한 민간인들의 활동이 병행되어 왔다.

각궁의 역사

활과 화살의 용도

1. 조선시대의 활의 종류와 용도

각궁
뿔과 나무와 동물의 힘줄 기타 재료를 민어부레풀로 붙여 만든 것으로 전투 및 수렵용과 연습 및 경기용의 두 종류가 있었는데 예로부터 그 제조 방법에 독특한 묘법(묘한 방법)이 있어 어느 외국의 활도 따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큰활
각궁의 일종이며 <정량궁>이라고도 하여 정량 도는 <륙량전>이라고 하는 무거운 화살을 쏘는 데 커다란 활.

례궁
각궁의 일종. 례식으로 활 쏘기를 할 때에 쓴 길이가 긴 활.

동개활
각궁의 일종. 동개 즉 활집에 넣어 등에 지고 말을 타고 달리면서 쏘는 데 쓴 작은 활.

철태궁
뿔과 쇠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것으로 전투 및 수렵에 쓴 활.

목궁
전투 및 수렵에 쓴 순전히 나무로 만든 활.

철궁
전투에 쓴 순전히 쇠로 만든 활.

조선시대의 활의 종류와 용도

2.조선시대의 화살의 종류와 용도

류엽전
각궁에 쓴 화살

륙량전
정량이라고도 한 것으로 그 무게가 6량 즉 225g이나 되는 전투에 사용한 무거운 화살

례전
례식으로 활쏘기를 할 때에 쓴 화살

동개살
<대우전>이라고도 한 것으로 동개 즉 활집에 활과 함께 넣어 등에 지고 말 타고 달리면서 쏘는 데 쓴 화살.

애기살
<편전>이라고도 한 것으로 짧고 작은 화살. 애기 살은 먼 거리를 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살이 박히는 힘이 강하고 힘이 예리하여 투구, 갑옷이라도 뚫을 수 있는 데서 외적들이 두려워 한 것이였다.

장군전
순전히 쇠로 만든 것으로 무게가 1.8kg내지 3.5kg이나 된 화살.<포노>라고 하는 일종의 기계적 자이로서 발사하여 적의 함선을 파괴하는 데 썼다.

가는대
적의 진영에 글을 보낼 때에만 쓴 화살

한국 양궁의 역사

양궁

양궁의 역사

전세계적으로 옛부터 활은 사냥이나 전쟁의 도구로 존재해 왔으며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있다. 양궁은 지중해형에서 유래, 발전되었으며 '양궁'이라는 명칭은 우리나라의 전통 활쏘기인 국궁, 즉 궁도와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나라 고유의 국궁은 몽골형에서 유래된 것이다.

1538년 무렵 궁도 애호가인 영국의 헨리(Henry) 8세가 영국 전역에 보급시켜 자체 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차츰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수출하여 스포츠로서도 각광을 받았는데, 이것이 세계적으로 활성화된 것은 1930년대 이후부터이다.

한국 양궁의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1959년 수도여자고등학교 체육교사 석봉근이 궁도에 관심을 보여 노년층에 많던 궁도 인구를 젊은 층에도 확대해 보고자 양궁과 대나무화살을 구입, 남산 중턱에 있는 석호정(국궁 활터)에서 연습에 열중하였다. 이에 1962년 미 8군에서 근무하던 에로트 중령이 석호정에서 연습 중인 석봉근에게 관심을 보여 함께 연습하면서부터 양궁의 싹이 트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63년 7월 27일 FITA(국제양궁연맹)에 정회원국으로 가입하였고, 그해 9월 8일 제11회 서울시 체육대회에 경기 종목으로 채택되어 20m 경기를 실시하였다. 1963년 10월 20일 한국일보사 주최 제6회 전국 활쏘기 대회에 양궁 30m 종목이 채택되어 경기도 수원 성터에서 실시되었다. 1967년 10월 2일 제1회 전국남녀궁도대회를 개최하였고, 1968년 9월 17일 개최된 제49회 전국체육대회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중·고등학교에 팀 창설 붐이 일게 되어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1974년 6월 7일 태릉에서 열린 일본 대표팀 초청 첫 국제대회에서 인천의 오영숙이 싱글 종합 1,162점을 얻어 3위에 입상하면서 한국 신기록을 수립하였으나 일본 선수들에게는 뒤지는 기록이었다.

김진호 선수 양궁 우승

애기살, 편전은 영화 그 후 1978년 12월 방콕에서 열린 제8회 아시아경기대회에서 개인과 단체종합에서 일본을 누르고 우승하였다. 이듬해 1979년 서베를린에서 열린 제3회 세계양궁선수권대회에 처음 출전한 여자팀은 김진호가 60m·50m·30m의 개인 및 종합우승을 석권하면서 단체우승을 차지하였다. 1981년 6월에는 이탈리아에서 열린 제31회 세계양궁선수권대회에 참가하여 여자 단체전에서 준우승을 하였다. 1982년 제1회 아시아-오세아니아 선수권대회에서는 남녀 단체와 개인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그해 1월 뉴델리(New Delhi) 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남녀 단체우승으로 세계 정상에 다시 서게 되었다. 1983년 대한양궁협회가 대한궁도협회에서 독립하여 창립되어 오늘에 이른다.

1983년 8월 US선수권대회에서 김진호가 개인 1위를 차지했고 김미영이 2위를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84년 제23회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올림픽경기대회에서는 국제대회에 처음 등장한 서향순이 금메달을 차지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였고, 1986년 제10회 서울 아시아경기대회에서는 양궁이 9개의 금메달을 획득함으로써 한국이 종합 2위를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후로 이어진 수많은 세계 선수권 대회, 올림픽, 아시안 게임에서 우리나라 양궁은 최고의 자리를 이어오고 있으며 특히 여자 양궁은 세계 선수권보다 국가대표 선발전이 더욱 어렵다고 할 정도의 수준 높은 실력을 구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