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찬 활체험센터활기찬 활체험센터

활과 활쏘기

  1. 활문화소개
  2. 활과 활쏘기

메뉴 열기

조선시대 학생들은 사서삼경을 익히는데 여념이 없었고, 요즘 학생들은 영어와 수학을 배우는데 몰입하고 있다. 하지만 삼국시대의 학생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 배운 것은 활쏘기였다. 요즘은 일부 동호인들이나 즐기는 활쏘기를 왜 삼국시대 학생들은 열심히 배웠던 것일까?

1) 활, 구석기인들이 만든 혁신적인 발명품

활은 화기가 등장하기 이전 장거리용 무기의 대명사였다. 활은 시위를 당겨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용수철로, 활시위를 놓아 발생하는 에너지를 화살에 전달해 멀리 날아가게 하는 도구다. 화살 앞부분에 돌이나 금속으로 만든 날카로운 화살촉을 부착하면 상대에게 강한 타격을 주는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활은 수만 년 전인 후기 구석기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창으로 동물을 사냥할 경우 사냥꾼은 자신도 죽거나 다칠 수 있다는 위험을 안고 있었지만, 활이 등장한 이후로는 먼 거리에서 동물을 쏘고 피할 수도 있었다. 따라서 인류는 호랑이, 곰과 같은 맹수와의 싸움에서 결정적인 우위를 갖게 되었다.

구석기의 활

2) 활을 잘 쏘는 자, 주몽

활은 사냥뿐만 아니라, 전쟁용 무기로도 더욱 널리 사용되었다. 부여와 고구려에서는 활을 잘 쏘는 자를 ‘주몽’이라고 불렀는데, 주몽이란 말은 당시로서는 선망의 대상, 요즘으로 치면 스타라고 할 수 있었다. 활을 잘 쏘는 사람은 사냥에서 더 많은 사냥감을 잡아 더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있고, 전쟁에 나가서 큰 공을 세우고 높은 벼슬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고구려를 건국한 추모는 백발백중의 솜씨를 지닌 주몽으로 불린 명사수였다.

고구려의 시조 주몽의 활쏘기

3) 임금이 갖추어야 할 덕목 활쏘기

역대 임금들 가운데는 활쏘기에 뛰어난 자들이 많았다. 고구려의 2대 유리명왕은 물동이에 구멍을 낸 것을 다시 진흙탄환을 쏘아 구멍을 막아 물이 새지 않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할 만큼 추모왕에 버금가는 명사수였다. 11대 동천왕, 25대 평원왕도 명사수였는데, 평원왕은 말을 타며 활을 쏘는 것에도 능했다고 한다. 백제의 경우도 11대 비류왕, 12대 계왕, 25대 동성왕 등이 활을 잘 쏜 임금으로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삼국시대 임금들이 직접 사냥에 나선 기록을 전하는데, 고구려왕 23회, 백제왕 25회, 신라왕 3회의 기록이 보인다. 고구려와 백제의 임금들이 사냥에 많이 참여했던 것은, 사냥이 곧 기병을 중심으로 한 군사훈련이었기 때문이다. 삼국시대 임금들은 스스로 군사지휘관이어야 했다. 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장에 나서 솔선수범해야, 귀족들도 자신들이 거느린 사병을 이끌고 참전하는 시대였다. 잦은 전쟁은 왕으로 하여금 활쏘기에 매진하도록 만들었다.

임금과 활

4) 일반인도 익혀야 할 활쏘기

[삼국지] <부여> 에는 ‘집집마다 자체적으로 갑옷과 활, 화살, 칼, 창의 무기를 보유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부여에서는 전쟁을 하게 되면 제가-부여의 관직명인 마가, 우가, 저가, 구가의 구성원들이 몸소 전투에 참여하고, 하호는 양식을 져다가 음식을 날라주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그 시대에는 전쟁에 참여하는 자는 특권층이었다. 부족의 지도자인 제가와 상층부 백성인 호민 정도만이 직접 전투에 참여하고, 하층민인 하호는 식량 공급만을 했다는 사실을 미루어보았을 때, 하호들에게는 활쏘기 등을 가르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고구려도 초기에는 1만 여명의 좌식자라 불리는 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하호들이 공급해주는 식량을 먹으면서 노는 상층민으로, 평상시에 농사를 짓지 않는 대신 활쏘기 등을 익혀 전쟁에 참여하는 전문 전투 집단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시대가 흘러 제가나 호민, 좌식자에서 배출되는 군사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전쟁의 규모가 커지게 되자, 일반 백성들도 전쟁에 참여시키기 위해 군사훈련을 시켰다. 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고구려의 경당, 신라의 화랑도와 같은 청소년 교육기관이 등장했다. 고구려 경당에서는 활쏘기와 말 타기를 주로 가르쳤고, 글공부도 가르쳤다. 경당 교육은 귀족에서부터 미천한 신분의 자식에 이르기까지 모두 받을 수 있었으며,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처럼 전쟁이 빈번했던 삼국시대의 남자들은 활쏘기를 어려서부터 익혀야만 했다.

일반인도 익혀야 할 활쏘기 각궁보다 무서운 편전

5) 활의 퇴장과 활쏘기

1592년 일본과의 전쟁을 겪은 후, 조선 군대는 화포와 총을 다루는 포수, 검과 창 등을 주로 하는 살수, 그리고 활을 다루는 사수의 삼수병제도를 채택했다. 조총의 도입은 활의 무기로서의 기능을 크게 감소시켰다. 활쏘기가 오랜 훈련이 필요했던 데에 비해 조총은 단기간에 배울 수가 있었다. 물론 활은 화약 병기의 단점을 보완할 장점도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후반 서양세력이 가져온 신식 총 앞에 조선의 활은 무력했다. 1881년 설치된 별기군은 소총 등 신식무기로 무장한 새로운 군대였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대가 개편되면서 궁수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제 활쏘기는 군사훈련으로서의 가치는 상실하고, 심신단련과 호연지기를 키우는 궁도라는 레저 스포츠로서 새롭게 보급되고 있다.

활의 퇴장과 활쏘기